'화학공학과'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화학공학과

(4)
이과생들을 위한 실험 레포트 잘 쓰는 노하우(1)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연계열에 진학하신 분이나 공대를 다니시는 분들이라면 학교를 다니면서 한번쯤은 또는 학교를 다니면서 졸업할 때까지 주구장창 쓰게 될 실험레포트의 저만의 노하우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해요. 실험 수업 특성상 한 수업에 많아봐야 20~30명 정도가 수업을 듣게 되는데요. 적은 인원이 수업을 듣기 때문에 A학점을 받기가 매우 어려워요... 게다가 복학하니까 저희 과 실험수업 학점도 1.5학점에서 3학점으로 학점 비중이 커졌더라고요. 그만큼 실험수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커졌습니다.좋은 학점을 받기 위해서 시험도 당연히 잘봐야 하지만 실험 수업의 경우에는 레포트 점수가 매우 큽니다!!그렇기 때문에 당연히 레포트를 잘 써야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겠죠? 그래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부족하지만 저만의 ..
이 화학물질의 밀도가 궁금해? MSDS활용하기 오늘은 화학관련전공을 하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유용한 사이트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해요. 저도 실험레포트를 작성하면서 하루에도 2~3번씩 들락날락하는 사이트예요. 화학물질들의 성질들을 정리해놓은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 물질안전보건자료에요. 말 그대로 화학물들의 물성, 위험성 등을 정리해놓은 것을 의미합니다. 링크는 아래에 있습니다. http://msds.kosha.or.kr/ 안전보건공단 화학물질정보 | 메인 화학물질의 유해성 정보 제공 검색어 예시) 71-43-2, 벤젠, KE-02150 화학물질정보검색 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화학물질정보는 MSDS 작성과 검토 시 참고용으로만 활용이 가능하며 산업안전보건법 제41조에 의거하여 MSDS 작성과 제공은 화학물질 제조 ·..
열경화성, 열가소성 고분자의 종류 오늘은 화학공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고분자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요. 고분자의 다른 이름은 플라스틱으로 부를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양의 고분자가 우리 실생활 속에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어요. 고분자에도 많은 종류가 있지만 오늘은 대표적인 열경화성 고분자와 열가소성 고분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열경화성 고분자 열경화성 고분자의 사전적인 뜻은 그물구조의 고분자로 가교된 정도가 높아서 사슬의 움직임이 크게 제한되어서 딱딱하다. 뭐 어쩌고 저쩌고 어렵게 나와있네요. 쉽게 말하자면 구조적으로 단단해서 열을 가하더라도 녹지 않고 오히려 딱딱해지는 플라스틱을 말합니다. 그래서 열경화성 고분자라고 하는 거예요. 이런 고분자들은 한 번 만들어지면 쉽게 변형이 일어나지 않아 안정성이 좋다고 합니다. 대표적인 열경화..
화학공학과 진로에 대해서 알고 싶다면? 우리 실생활 속에서 화학 제품이 아닌 물건은 찾기 어려울 정도로 화학공학은 우리와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반도체, 카페에서 많이 쓰는 일회용 테이크아웃 잔, 화장품, 심지어 우리가 먹는 음식까지 화학공학을 거치지 않는 것이 없을 정도입니다. 오늘은 화학공학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으로서 화학공학과를 졸업하면 어떤 진로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아 가끔 화학공학과에서는 화학만 배우면 된다고 생각하고 오시는 분들이 있는데요. 화학공학과도 엄연히 공대이기 때문에 물리를 배웁니다. 심지어 화학보다 더 많이 배우는 거 같아요...) 화학공학과를 나와서 하는 일 1) 연구개발 R&D 아무래도 많은 분들이 화학 공학하면 제일 먼저 생각하는 게 실험실에서 연구하는 모습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