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자연계열에 진학하신 분이나 공대를 다니시는 분들이라면 학교를 다니면서 한번쯤은
또는 학교를 다니면서 졸업할 때까지 주구장창 쓰게 될 실험레포트의 저만의 노하우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해요.
실험 수업 특성상 한 수업에 많아봐야 20~30명 정도가 수업을 듣게 되는데요. 적은 인원이 수업을 듣기 때문에 A학점을 받기가 매우 어려워요...
게다가 복학하니까 저희 과 실험수업 학점도 1.5학점에서 3학점으로 학점 비중이 커졌더라고요. 그만큼 실험수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커졌습니다.
좋은 학점을 받기 위해서 시험도 당연히 잘봐야 하지만 실험 수업의 경우에는 레포트 점수가 매우 큽니다!!
그렇기 때문에 당연히 레포트를 잘 써야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겠죠?
그래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부족하지만 저만의 레포트를 쓰는 노하우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실험을 하기에 앞서 '예비 레포트'라는 것을 작성하게 될 거에요. 예비레포트란 실험에 필요한 이론이나, 시약, 기구에 대한 정보, 그리고 실험 방법에 대해서 미리 정리하여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실제 실험을 할 때 혼란을 방지하거나 필요한 정보들을 찾아보기 위해서 예비 레포트도 꼼꼼히 써야합니다.
학교마다 레포트 쓰는 양식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교수님이나 조교님께서 재시해주시는 양식에 맞춰 작성해주세요. 제가 알려드리는 것은 일반적인 양식을 알려드리는 거에요.
예비 레포트 작성 방법
1. 실험 제목(Title)
실험 제목은 조교님이 주시는 자료나 실험 교재에 있기 때문에 그대로 간단하게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ex) 나일론 6.10합성, 아세트산 중화적정 실험
이렇게 간단하게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2. 이론(Principle)
예비 레포트를 쓸 때 중요한 부분을 꼽으라면 이론부분이 제일 중요해요. 실험에 필요한 원리들을 인터넷이나 책과 같은 자료를 찾아서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이론부분을 쓸 때 귀찮다고 화학반응식만 쓰거나 인터넷에서 대충 복사 붙여넣기 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러시면 레포트 점수 다 깎입니다.
이론을 쓸 때는 실험에 쓰이는 시약의 특징이나 이번 실험에 사용되는 화학적 이론 등 실험에 필요한 지식들을 정확히 자세하게 써주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나일론 합성실험을 한다고 해볼게요. 나일론이라는 고분자를 합성할 때 쓰이는 중합방법(ex, 계면중합의 원리)이나 중합방법의 종류, 시약이 어떤 조건하에서 반응하는지, 어떤 요소가 반응속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등 정말 자세하게 조사해서 써주시면 됩니다.
참고자료는 인터넷이나 서적, 논문들을 참고할 수 있는데요. 학부에서 하는 실험은 기초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논문까지 볼 필요는 없습니다. 인터넷을 참고할 때는 조교님들마다 성격이 다른데 위키백과 같은 사이트를 참고해도 된다고 허용해주시는 분이 있고 아예 못하게 하시는 분들도 있으니 한 번 여쭤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아무래도 전공교재같은 서적을 참고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가장 정확한 정보이기도 하고 책을 뒤져보는게 쉽지 않기 때문에 조교님들도 열심히 하는걸 다 아시고 좋은 점수 주실 수도 있어요.
3. 실험기구&시약(Apparatus & Reagents)
실험기구는 일일히 나열해서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교수님들 대부분 영어로 쓰시길 원하는 거 같아요.
비커(beaker), 플라스크(flask), 피펫(pipet) 이런 식으로 말이죠. 보통 이렇게 간단하게 씁니다.
시약은 알아야 할 정보가 많이 있어요. 실험할 때 분자량이나 밀도가 필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표로 그려서 쓰는 편이에요. 기본적으로 1) 시약이름(Name) 2) 화학식(Formula) 3) 분자량(M.W) 4) 밀도(d) 5) 녹는점, 끓는점(m.p, b.p) 이런 물성들을 조사해서 써야해요.
4. 실험과정(Procedure)
실험과정을 쓰는 것도 여러 방법이 있는데 학교마다 다르니 주시는 양식대로 써주세요.
실험과정은 번호를 매겨서 순서대로 쓰기도 하고 순서도(flow chart)를 그려서 쓰기도 합니다.
순서도를 예시로 보여드릴게요.

flow chart를 쓸 때는 실험방법을 다 줄줄 쓰는 것이 아니라 이런 식으로 한 눈에 보기 쉽게 작성해야 해요. 그렇다고 너무 요약해서 쓰시면 실험할 때 헷갈릴 수 있고요. 필요한 정보만 간략하게 작성해주시는 것이 포인트 입니다.
번호를 매겨서 순서대로 쓰는 것도 비슷한데요. 포인트는 실험할 때 이해하게 쉽게 작성하는 것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실험 레포트 중에서 예비 레포트를 작성하는 것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주의할 점 몇 가지만 말씀 드릴게요.
1) 표나 그림을 첨부할 때는 (Table 1.~~) 이런 식으로 번호를 매겨야 해요. 이것도 필수는 아니지만 대부분 이름을 붙이는 것을 원하시더라고요.
2) 자료를 참고해서 쓴 경우에는 출처남기기.
참고자료는 예비레포트에서 표시를 안해놓더라도 결과레포트에 반드시 남기셔야 합니다.
3) 워드로 작성한다면 복사 붙여넣기 안돼요!!
한 두장 밖에 안되는 레포트라도 정성스럽게 쓴 것은 티가 나요.
이 정도만 아신다면 레포트 때문에 점수 깍이실 일은 없을 거에요. 모두 레포트 잘 작성해서 A받으시길 바랄게요!!
'화학공학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화학물질의 밀도가 궁금해? MSDS활용하기 (1) | 2020.04.20 |
---|---|
열경화성, 열가소성 고분자의 종류 (0) | 2020.03.28 |
화학공학과 진로에 대해서 알고 싶다면? (0) | 2020.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