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공학과 진로에 대해서 알고 싶다면?
본문 바로가기

화학공학과

화학공학과 진로에 대해서 알고 싶다면?

우리 실생활 속에서 화학 제품이 아닌 물건은 찾기 어려울 정도로 화학공학은 우리와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반도체, 카페에서 많이 쓰는 일회용 테이크아웃 잔, 화장품, 심지어 우리가 먹는 음식까지 화학공학을 거치지 않는 것이 없을 정도입니다. 

오늘은 화학공학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으로서 화학공학과를 졸업하면 어떤 진로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아 가끔 화학공학과에서는 화학만 배우면 된다고 생각하고 오시는 분들이 있는데요. 화학공학과도 엄연히 공대이기 때문에 물리를 배웁니다. 심지어 화학보다 더 많이 배우는 거 같아요...)

 

 

화학공학과를 나와서 하는 일


1) 연구개발 R&D

아무래도 많은 분들이 화학 공학하면 제일 먼저 생각하는 게 실험실에서 연구하는 모습일 거예요.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는 게 화학공학에서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입니다. 대학교에서도 이론수업과 더불어 매 학기마다 1~2과목 정도 실험수업을 진행합니다. 

 

연구개발은 기존 지식을 활용해서 새로운 장치, 공정, 시스템, 제품들을 만들거나 개량하는 분야입니다. 당연히 연구파트에서 신제품이나 제품에 쓰일 원료 등을 개발하기도 하지만 기존에 있던 시스템이나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도 이뤄집니다. 

 

2) 공정설계

앞선 R&D파트에서 신제품을 만들었다면 이제 대량생산을 위한 공정설계 단계로 들어갑니다. 개발단계는 실험실 규모였다면 공정설계는 공업적인 규모로 확대하는 것입니다. 공업적인 규모로 확대하는 것에는 여러 불리한 점이 많습니다. 그런 부분을 효율적으로 공정이 이뤄지게 구성하는 것이 공정설계 단계입니다. (열역학이나 물질 수지, 에너지 수지 같이 어려운 개념들이 많지만 오늘은 넘어가도록 할게요..)

 

3) 품질관리, 생산관리

이제 공정설계까지 모두 끝났다면 생산라인이 잘 돌아가는지 관리해주는 분야입니다. 앞선 과정보단 단순한 일이지만 화학공학에 관한 기초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관련 학과를 졸업해야 취업할 수 있습니다.

 

 

화학공학과 진로


1) 정유회사, 석유화학

화학 공학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업종입니다. 연봉도 높고(GS칼텍스 같은 경우 평균 연봉이 7천만 원입니다.) 아직까지는 없어질 수 없는 업종이다 보니 인기가 많은 분야입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GS칼텍스, sk에너지, 현대오일뱅크 등이 있습니다. 전문대 화공과는 주로 생산직인 오퍼레이터로 취업하고 4년제 화공과는 생산관리직인 엔지니어로 취업합니다.

 

2) 반도체

반도체는 전기전자와 관련된 분야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화학공학의 주 분야 중 하나입니다. 반도체의 공정 중에서 많은 부분이 화학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화학공학 전공자에 대한 수요가 끊이지 않습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등이 있습니다. 

 

3) 화장품

화공과에 진학하는 많은 사람들이 취업하길 희망하는 업종입니다. 하지만 화장품 계열은 다른 업종과는 다르게 대량생산을 하지 않기 때문에 학사 학위로는 연구분야로 취업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그래서 학사로 졸업하시는 분들은 마케팅이나 생산관리 분야로 많이 취업하는 거 같습니다. 연구원이 되길 희망하신다면 석사학위를 따서 연구직으로 들어가는 방법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회사는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이 있습니다.

 

4) 제약, 바이오

제약분야도 일반적으로 학사로 졸업하게 된다면 생산관리나 영업직으로 취업하게 됩니다. 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최소 석사나 박사학위가 필요해요. 채용인원도 적은 편이라 취업하기 어려운 분야입니다. 그렇다고 연봉이 높은 수준도 아니고요.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유한양행, 셀트리온 등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IT, 화공직 공무원, 환경 관련 업무 등 화학에 관련이 있는 업종이라면 어디든 취업이 가능합니다. 오늘은 화학공학과를 나와서 갈 수 있는 진로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아직 저도 취업을 준비 중이다 보니까 부족한 부분이 많은 거 같습니다. 그래도 조금이나마 도움이 된 포스팅이었기를 바랄게요.

 

 

반응형